윤석열 당선인 측이 집무실 이전 비용의 충당 방식을 가급적 최소한으로 절제하겠다고 밝혔답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2022년 3월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청와대 서버 이전 비용만 수백억이 드는 것인데 집무실 이전 총 비용은 어느 정도로 추계하며 어떻게 충당할 계획인 것인가"라는 질문에 "어떤식이든 국민 소통과 함께하는 대통령실이라는 취지에 걸맞게 최우선 가치를 국민에 두고 정말로 가겠다"고 말했답니다.
그러면서 "사실 진정한 이전은 어느 곳으로 이전하느냐 결정에 달려 있는 것 같다"며 "장소와 연결된 문제기 때문에 비용 추산과 관련해선 추후 확정된 결과와 함께 말씀드리도록 하겠다"고 전했답니다.
"광화문 이전을 공약했던 상황인데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것도 공약을 지킨 것으로 봐야 하느냐"는 질문에 "결론이 최종적으로 나오지 않아 전제로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다"고 답했답니다. 그러면서 "청와대 개혁을 이야기하면서 과거 어느 정부에서도 이뤄낼 수 없었던, 따뜻하고 안정된 곳이 나온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닌 것이다"라며 "권위주의 잔재 청산 의지를 담고 있기 때문에 광화문, 그리고 국민 곁으로 다가가겠다고 한 상황이다"이라고 설명했답니다.
그는 "청와대 구조는 국민보다는 대통령에 더 집중하는 구조인 것이다"라며 "비서동에서 대통령의 집무실까지 올라가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상황이다"고 말했답니다. 이어 "1분1초도 허투로 버리지 않겠다고 한 만큼 대통령과 비서진, 국민이 특별한 거리를 두지 않고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민생을 해결하는 것 또한 중요한 상황이다"고 강조했답니다.
김 대변인은 지난 3월 16일 문재인 대통령과 윤 당선인의 청와대 오찬 회동이 당일 취소된 것에 대해 "긴밀하고 지속적으로 (청와대 측과) 소통과 조율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며 "(다시 회동을 잡고자) 조율은 지금도 계속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답니다.